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달의 주목할 건강정보
1 / 3

# 안구건조증

안구 표면을 덮고 있는 눈물막은 안구 표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각막에 영양을 공급하고 선명한 시력을 제공합니다. 눈물막은 구성 요소가 다양하며, 눈물 분비 또한 세심하게 조절되어 안구 표면을 건강하게 유지합니다. 눈물 생성이 부족하거나 증발이 많아지는 경우, 또는 눈물막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경우 ‘안구건조증’이 발생합니다.안구건조증은 흔히 ‘건성안’이라고도 불리며, 눈물막의 문제로 인해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눈이 불편한 증상이 생깁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눈의 건조감, 이물감, 뻑뻑함, 작열감, 충혈, 피로감, 흐려보임 등이 있으며,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최근 들어 환자들이 안과를 찾는 가장 많은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안구건조증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에 노출될 뿐 아니라, 냉난방이 잘 되는 빌딩이나 밀폐된 사무실 속에서 항상 건조한 환경 아래 삽니다. 이런 생활 환경은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위험을 높입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는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지털기기를 끊임없이 사용하므로, 우리는 눈을 뜬 채로 계속 무언가를 읽고 봅니다. 이 또한 안구건조증의 발생을 더욱 부추깁니다. 안구건조증은 일반적으로 눈물 생성이 줄어드는 중년 이후 여성에서 흔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현재는 생활 환경, 생활 습관, 약물 복용, 시력교정 수술, 만성 결막염, 눈꺼풀 염증, 전신 면역 질환 등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남녀노소 구별 없이 아주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한 대학병원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대도시 인구의 80% 이상이 안구건조증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할 정도로 현대인에게 흔한 질환이 되었습니다. 눈물막은 눈물샘에서의 눈물 생성과 안구 표면에서의 눈물 증발, 그리고 눈깜빡임을 통한 눈물의 분포 등 3가지 기전에 의해 우리 눈을 촉촉하게 유지합니다. 이런 요소들이 서로 적절히 균형을 이루지 못하거나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다양한 원인으로 눈물의 생성 분비가 저하되거나, 눈물막이 질적으로 좋지 않아 증발이 증가하거나, 눈깜빡임이 적절하지 못하면 안구건조증이 생깁니다.눈물막은 우리 눈을 건강하게 유지해주는 일차 보호막이자, 눈을 부드럽게 하는 윤활유이자, 눈 속으로 빛이 깨끗하게 들어가게 해주는 중요한 액체입니다. 눈물막은 수성층, 점액층, 기름층(지방층) 등 세 층으로 구성됩니다. 눈물샘에서 만들어진 물 성분의 눈물이 수성층을 형성하고 눈물막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안구 표면, 즉 각막과 결막에서 만들어진 점액은 눈물막의 점액층을 이루고, 눈꺼풀의 마이봄샘에서 분비된 얇은 지방질이 기름층을 형성해 눈물막을 덮어줍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눈물은 눈물점, 코눈물관을 통해 코로 배출됩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수성층이 부족해 발생하기도 하고, 각막이나 결막의 이상으로 점액층에 문제가 생기거나 마이봄샘에서 분비되는 기름층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기도 합니다. 눈에서 눈동자를 덮고 있는 돔 형태의 투명한 안구 표면을 각막이라고 하며, 그 옆의 하얀 부분을 결막이라고 합니다. 눈깜박임을 통해 안구 표면에 눈물막이 고르게 퍼지면서 각막과 결막을 촉촉하게 적시고 부드럽게 해 눈꺼풀과의 마찰을 줄여줍니다. 눈물막이 각막 위에 골고루 퍼지면 매끄러운 굴절층이 형성되어 빛이 선명하게 눈속으로 들어옵니다. 눈물 속에는 항균 성분이 있어서 눈에 침입한 병균을 죽이는 역할도 합니다. 결막에는 혈관이 있어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지만, 각막에는 혈관이 없으므로 눈물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눈물은 이렇게 다양한 역할을 하므로, 눈물이 모자라면 눈이 건조하고 까칠까칠해지며, 마른 안구 표면에서 빛이 번져 상이 흐리게 보일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각막과 결막이 손상되고 감염에 취약해질 수도 있습니다.앞에서 말했듯 우리 눈의 표면에는 아주 얇은 눈물막이 있어 눈을 보호합니다. 눈물막은 바깥층에서부터 기름층, 수성층, 점액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한 가지라도 이상이 생기면 불안정해져 눈물이 쉽게 마릅니다. 다음 그림은 눈물막의 각 층별 역할을 요약한 것입니다.  

질병 및 장애
이 달의 건강정보
1 / 3